본문 바로가기

Here i am/심야책방

[책] 천사와 악마(Angels and Demons)-댄 브라운(Dan Brown).

반응형

천사와 악마(Angels and Demons)-댄 브라운(Dan Brown).

얼마 전 댄 브라운의 신작 오리진(Origin)을 처음 접한 이후 그가 쓴 책에 대한 호기심이 생겨 그가 쓴 책들을 찾아보다 천사와 악마(Angels and Demons)라는 책을 알게 되었습니다. 인터넷으로 조사를 해보니 이 책은 우리나라에 2004년 이미 발간되었고, 2009년도에는 영화화 된 것을 이번에 알게 되었습니다 이야기의 주무대는 이탈리아 로마와 바티칸. 책의 주무대인 바티칸과 이탈리아 로마는 이미 방문한 적이 있어 더욱더 책이 강하게 끌렸습니다. 타고난 이야기꾼인 댄 브라운은 이 장소를 책에서 어떻게 이야기를 풀어 나갔을지 너무나 궁금해졌습니다. 기대대로 이번의 책도 실망을 시키지 않았습니다.

역시 댄 브라운은 타고난 이야기꾼인 것 같습니다. 사실 어디까지가 허구이고 어디까지가 진실인지는 여전히 헷갈립니다. 책 내용의 주무대인 바타칸과 이탈리아 로마의 수많은 교회와 장소는 오래 전에 이미 방문해 본적이 있지만 무심코 지나쳤던 장소에서 이런 이야기가 만들어 질 줄은 전혀 상상을 하지 못했습니다. 책을 보는 내내 익숙한 지명들과 그 속을 뛰어다니는 주인공들의 시선과 숨 막히는 사건전개, 반전을 거듭하는 내용은 한 순간의 멈춤도 없이 끝을 향해 달려 갔습니다. 주구장창 사진만 찍었던 추억의 한 장소에서 이런 거대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고 새로운 생명을 부여했다는 것만으로도 저에겐 또 다른 즐거움을 선사했습니다.

책은 빛과 어둠, 천사와 악마, 삶과 죽음, 공포와 희망, 선과 악, 옳고 그름, 과학과 종교 등 여전히 우리의 삶에도 뿌리를 내리고 있던 이분법적으로 판단한 수많은 문제들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합니다.

책을 다 읽고 난 후 예전에 봤던 <노자>라는 책 속에 있던 한 줄의 글이 떠 올랐습니다. “양면성이나 이중성이란 일면을 계산하여 타면을 악용하거나 일면에 집착하여 타면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양면을 동시에 수용함으로써 이중적인 것처럼 보이는 삶의 태도를 말한다.” 갑자기 왜 이런 글귀가 떠 올랐는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노자>라는 책을 보면서 느꼈던 것이 천사와 악마를 읽으면서 또 새롭게 느껴졌던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물론 이번이 두 번째 책이기는 합니다만 먼저 봤던 오리진과 이번에 본 천사와 악마 이 두 책이 자연스럽게 비교가 되었습니다. 비슷한 배경과 비슷한 서사구조, 그리고 비슷한 사건은 약간의 피로감을 몰고 왔습니다. 문득 이런 생각이 스쳤습니다. 그의 책을 한번이라도 읽은 사람이라면 두 번째의 책은 조금의 지루함을 느끼지 않을까? 댄 브라운의 책을 처음 접하면 센세이션 하게 다가올 수 있을지 모르지만 두 번째, 세 번째의 책으로 넘어가면 비슷한 구조에 처음 맛보았던 그 강렬한 맛은 조금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여전히 머리 속에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책은 여전히 일어나는 사건을 차치하고라도 그의 책에서만 볼 수 있는 세밀한 묘사와 흥미로운 사건 그리고 탄탄한 구성과 깊이 있는 연구는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해 보였습니다.

P.S 책을 덮고 <노자>의 글귀를 찾아보다 스쳐가듯 눈에 띈 단어가 있었습니다. <헤브라이즘과 헬레니즘>. 이 두 단어들을 본 순간, 다른 설명보다 책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단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