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re i am/심야책방

[추천도서] 한 줄도 너무 길다.-류시화 엮음.

반응형

줄도 너무 길다. – 류시화 엮음.

일본은 오래 전부터 줄짜리 시를 쓰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줄의 시로 지상의 삶을 표현 하고자 했습니다. 짧디 짧은 줄의 시는 오히려 시보다 많은 것을 말해 주는 느낌을 강하게 받습니다. 이런 짧은 시의 형태를 일본에서는 하이쿠라고 합니다. 하이쿠를 간단히 요약 하지면 세상에서 가장 짧은 정도 같습니다.

하이쿠[俳句(배구)] - 일본 고유의 단시형(短詩形).

5·7·5 17()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원래 일본에는 중세 무렵부터 조렝카[長連歌]라는 장시(長詩)가 있었는데, 15세기 말부터 이 조렝카는 정통(正統) 렝카[連歌]와 서민생활을 주제로 비속골계화(卑俗滑稽化)한 하이카이렝카[俳諧連歌]로 갈리었고, 에도시대에 이르러 마쓰오 바쇼[松尾芭蕉] 같은 명인이 나와 하이카이렝카는 크게 유행하였다. 이 하이카이렝카의 형식이 제1()는 홋쿠[發句]라 하여 5·7·5 17음으로 이루어지고, 2구는 7·7 14, 3구는 다시 5·7·5 17음 등, 장·단이 교대로 엮어져 많은 것은 100, 짧은 것은 36구 등이 있다. 마쓰오 바쇼는 이 렝카의 제1, 즉 홋쿠를 매우 중요시하여 홋쿠만을 감상하기도 하였으며, 에도 중기 이후에는 이 홋쿠의 비중이 더 커졌다. 메이지[明治]시대에 이르러 시인(詩人)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는 렝카의 문예적 가치를 부정하고 그 홋쿠만을 독립시켜 하이쿠[俳句]라 이름하였는데 이것이 정착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해학적이고 응축된 어휘로 인정(人情)과 사물의 기미(機微)를 재치 있게 표현하는 이 하이쿠는 일본의 와카[和歌]와 함께 일본 시가문학의 커다란 장르를 이룬다. [네이버 지식백과] 하이쿠 [俳句(배구)] (두산백과) 

책은 하이쿠 시 모음집 입니다. 하이쿠 시들은 단순히 읽으면 글이 되겠지만, 음미하다 보면 새로운 세계를 압축 해 놓은 듯한 인상을 풍깁니다. 이 시들은 압축하고 생략하고, 또 생략해서 한 줄, 한 줄에 깊이를 더했습니다. 짧디 짧은 글들이지만 여운은 길게 갑니다. 때로는 장황한 글보다 이렇게 한 줄의 짧은 글들이 마음을 매료시킵니다.

 내가 사는 마을에는

사람 숫자보다

허수아비가 더 많다.

-차세이-

-P107-

반응형